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심전도(EKG) 검사로 알 수 있는 것들

    심전도(EKG) 검사로 알 수 있는 것들

    건강검진에서 기본으로 포함되는 심전도 검사(EKG). 하지만 검사 결과에 대해 설명을 듣지 못하거나, 어떤 걸 확인하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전도 검사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해 다양한 심장 질환의 조기 진단에 도움을 줍니다.

    1. 심전도(EKG)란?

    • Electrocardiogram의 약자로 심장의 전기 신호를 기록
    • 작은 전극을 가슴·손목·발목 등에 부착해 측정
    • 비침습적이며 빠르고 간단한 검사로 안전

    2. 심전도 검사로 알 수 있는 질환

    ① 부정맥

    •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거나, 빠르거나 느린 상태
    • 심방세동, 심실빈맥, 서맥 등 조기 진단 가능

    ② 심근경색 & 허혈성 심질환

    • 심장 근육에 혈류 공급이 제대로 안 되는 상태
    • 흉통, 호흡곤란 등의 증상 시 즉시 검사

    ③ 심장 비대 및 심근질환

    • 심장이 과도하게 커진 경우 (고혈압, 심부전 등 원인)
    • 심장의 좌우 벽 두께나 부하 상태 확인 가능

    3. 심전도 결과에서 확인하는 파형

    • P파: 심방의 수축을 나타냄
    • QRS 복합파: 심실의 수축
    • T파: 심실의 이완 (회복)
    • 각 파형의 간격, 높낮이, 형태를 통해 질환 여부 분석
    TIP: 심전도는 기본 건강검진 항목이지만, 증상이 없더라도 가슴 두근거림, 어지럼증, 흉통이 있는 경우 꼭 추가 검사가 필요합니다.

    4. 심전도 검사, 누가 받아야 하나요?

    •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환자
    • 심장 두근거림이나 흉통을 자주 느끼는 경우
    • 가족 중 심장질환 이력이 있는 경우
    • 50세 이상 중장년층은 연 1회 정기검사 권장

    마무리하며

    심전도 검사는 짧은 시간으로 심장의 전기적 기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검사입니다. 특별한 증상이 없더라도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심장 건강을 사전에 관리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