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79

심전도(EKG) 검사로 알 수 있는 것들 심전도(EKG) 검사로 알 수 있는 것들건강검진에서 기본으로 포함되는 심전도 검사(EKG). 하지만 검사 결과에 대해 설명을 듣지 못하거나, 어떤 걸 확인하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전도 검사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해 다양한 심장 질환의 조기 진단에 도움을 줍니다.1. 심전도(EKG)란?Electrocardiogram의 약자로 심장의 전기 신호를 기록작은 전극을 가슴·손목·발목 등에 부착해 측정비침습적이며 빠르고 간단한 검사로 안전2. 심전도 검사로 알 수 있는 질환① 부정맥심장이 불규칙하게 뛰거나, 빠르거나 느린 상태심방세동, 심실빈맥, 서맥 등 조기 진단 가능② 심근경색 & 허혈성 심질환심장 근육에 혈류 공급이 제대로 안 되는 상태흉통, 호흡곤란 등의 증상 시 즉시 검사③ 심장 비대 및.. 2025. 5. 18.
갑상선 기능 검사, 꼭 필요한 이유 갑상선 기능 검사, 꼭 필요한 이유“요즘 너무 피곤해요…” “살이 갑자기 찌고 빠지고 반복돼요…” 이런 증상이 있다면 단순 피로가 아닌 갑상선 이상일 수 있습니다.오늘은 건강검진에서도 자주 놓치기 쉬운 갑상선 기능 검사가 왜 중요한지, 어떤 항목을 검사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1. 갑상선은 어떤 역할을 하나요?갑상선은 목 앞쪽에 위치한 나비 모양의 기관입니다.몸의 대사 조절을 담당하는 호르몬(T3, T4)을 생산합니다.이 호르몬은 심장박동, 체온, 에너지 소비, 신경계까지 전신 기능을 조절합니다.2. 갑상선 기능 이상 증상① 갑상선 기능 저하증 (호르몬 분비 ↓)피로, 무기력, 체중 증가추위를 잘 탐, 변비, 우울감생리불순, 기억력 저하② 갑상선 기능 항진증 (호르몬 분비 ↑)체중 감소, 식욕 증가불안감, .. 2025. 5. 18.
혈액검사에서 알 수 있는 건강 신호들 혈액검사에서 알 수 있는 건강 신호들건강검진을 받으면 꼭 포함되는 혈액검사. 하지만 검사 결과표에 나오는 다양한 수치들, 무엇을 의미하는지 헷갈리셨죠? 오늘은 혈액검사를 통해 우리 몸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핵심 항목들을 소개합니다.1. 간 기능 검사 (AST, ALT, γ-GTP)AST, ALT: 간세포 손상 여부를 나타냄γ-GTP: 음주와 관련된 간 기능 이상 확인 가능수치 상승 시 지방간, 간염, 간경변 의심2. 혈당 & 당화혈색소 (당뇨병 관련)공복혈당: 100~125mg/dL → 당뇨 전단계당화혈색소(HbA1c): 5.7~6.4% → 주의 필요정상 수치라도 생활습관 점검 필요3. 콜레스테롤 수치 (지질 검사)총콜레스테롤: 200mg/dL 이하LDL(나쁜 콜레스테롤): 100~130mg/d.. 2025. 5. 18.
위내시경 vs 대장내시경, 언제 받아야 할까? 위내시경 vs 대장내시경, 언제 받아야 할까?내시경 검사는 우리 몸속 장기의 상태를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검사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많이 받는 검사가 바로 위내시경과 대장내시경이죠. 하지만 이 두 검사의 차이와 적절한 검사 시기를 정확히 아는 분은 많지 않습니다.오늘은 위내시경과 대장내시경의 차이점과 언제, 어떤 경우에 받아야 하는지를 비교해보겠습니다.1. 위내시경이란?식도 → 위 → 십이지장 상부까지 내시경 카메라로 관찰위염, 위궤양, 식도염, 위암 등 조기 진단 가능국가암검진에서 만 40세 이상, 2년마다 무료 제공2. 대장내시경이란?직장 → 대장 전체를 내시경으로 관찰용종, 대장염, 치질, 대장암 등을 진단국가검진에서는 만 50세부터 분변잠혈검사 → 이상 시 내시.. 2025. 5. 18.